강아지는 말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몸이 아파도 직접 표현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보호자는 강아지의 미묘한 행동 변화를 통해 건강 이상 신호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식욕 감소, 평소와 다른 움직임, 잦은 숨소리 변화 등은 강아지가 아플 때 보이는 대표적인 행동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강아지가 아플 때 보이는 대표적인 행동 10가지와 질환별 증상, 보호자가 해야 할 대처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가 아플 때 보이는 10가지 행동 변화
강아지가 아플 때 보이는 행동은 다양합니다. 특히 평소와 다른 패턴이 반복되거나 심해질 경우 주의해야 합니다.
1. 식욕 저하 또는 과식
- 강아지가 갑자기 밥을 거부하거나 물조차 마시지 않는다면 건강 이상 신호일 가능성이 큽니다.
- 반대로 일부 질환(당뇨병, 쿠싱증후군 등)은 식욕이 증가하는 증상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2. 움직임 감소 또는 절뚝거림
- 강아지가 평소보다 활력이 없고 가만히 있으려 한다면 몸이 불편할 수 있습니다.
- 다리를 절거나 특정 부위를 핥는 행동이 보이면 관절 질환이나 외상 가능성이 있습니다.
3. 과도한 잠 또는 수면 패턴 변화
- 평소보다 잠을 너무 많이 자거나, 반대로 깊이 잠들지 못하고 자주 깨는 경우 건강 이상을 의심해야 합니다.
- 노령견일 경우 관절염, 심장 질환 등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4. 과도한 헥헥거림 (호흡 변화)
- 더운 날씨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숨을 헐떡이거나 호흡이 거칠어지는 것은 통증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심장 질환, 호흡기 질환이 있을 경우 강아지는 헥헥거리는 모습을 자주 보입니다.
5. 보호자에게 달라붙거나 반대로 숨으려 함
- 강아지가 아플 때 보호자를 찾으며 안기려 하거나, 반대로 구석으로 숨어 있으려는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 특히 아픈 부위를 만졌을 때 갑자기 물거나 피하려 한다면 통증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6. 잦은 구토 및 설사
- 강아지가 하루 한두 번 구토하는 것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반복적인 구토와 설사는 소화기 질환, 중독, 기생충 감염 등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 구토물이나 변에 피가 섞여 있다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합니다.
7. 물을 너무 많이 마시거나, 반대로 마시지 않음
- 갑자기 물을 과하게 마시면 당뇨병, 신부전, 쿠싱증후군 등의 질환이 의심됩니다.
- 반대로 물을 거의 마시지 않는다면 탈수 위험이 있으며, 특히 신장 질환이 있을 경우 심각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8. 입 냄새가 심해지고 침을 많이 흘림
- 구강 건강이 나빠지면 강아지 입 냄새가 심해지며, 이가 아파서 밥을 먹기 힘들어할 수도 있습니다.
- 잇몸이 부어 있거나 치아가 흔들리는 경우 치주질환을 의심해야 합니다.
9. 피부 이상 (과도한 긁기, 털 빠짐, 붉은 반점)
- 피부를 계속 긁거나 핥는다면 알레르기, 피부염, 기생충 감염 등의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특정 부위의 털이 빠지거나 피부에 붉은 반점이 생긴다면 곰팡이 감염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10. 이상한 소리를 내거나 통증을 호소함
- 강아지가 갑자기 낑낑거리거나 하울링을 하듯 소리를 낸다면 몸이 불편하거나 아픈 부위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특히 특정 부위를 만졌을 때 반응이 강하면 해당 부위의 통증을 의심해야 합니다.
아픈 부위별 강아지 증상 정리
| 질환 유형 | 대표적인 증상 |
|---|---|
| 소화기 질환 (위염, 장염) | 구토, 설사, 식욕 저하 |
| 호흡기 질환 (기관지염, 폐렴) | 기침, 호흡 곤란, 헥헥거림 |
| 관절 질환 (관절염, 슬개골 탈구) | 절뚝거림, 움직이기 싫어함 |
| 신장 질환 (신부전) | 물을 많이 마심, 소변량 증가, 식욕 저하 |
| 치주 질환 (잇몸염, 치석) | 입 냄새 심함, 침을 많이 흘림 |
| 피부 질환 (알레르기, 곰팡이 감염) | 털 빠짐, 피부 발진, 긁기 |
강아지가 아픈 행동을 보일 때 보호자의 대처법
즉시 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
- 강아지가 계속 구토하거나 설사를 하는 경우
- 호흡이 불규칙하거나, 숨 쉬는 것을 힘들어하는 경우
- 혈변, 혈뇨 또는 피가 섞인 구토를 한 경우
- 심하게 절뚝거리거나 움직이려 하지 않는 경우
가벼운 증상일 때 보호자가 할 수 있는 조치
- 식욕이 없을 때: 평소보다 부드러운 음식(습식 사료, 닭고기 등) 제공
- 구토 후 탈수 예방: 소량의 물을 자주 제공하고 상태 관찰
- 피부 이상: 긁는 부위를 확인하고, 알레르기 유발 요인 제거
강아지가 아플 때는 말을 하지 않지만, 행동 변화만 잘 관찰해도 건강 이상 신호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평소와 다른 움직임이나 식욕 변화가 있다면 가볍게 넘기지 말고, 빠른 대처로 우리 강아지의 건강을 지켜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