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사야, 나 밥도 안 먹고 기운도 없어…”
만약 이런 신호를 보낸다면 범백을 의심해 봐야 해요! 고양이들의 치명적인 적, 범백혈구감소증! 대체 왜 이렇게 무서운 병일까요?
어떻게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을까요? 지금 바로 알아보세요!
고양이 범백이란? 꼭 알아야 하는 이유
고양이 범백(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 Feline Panleukopenia)은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질환이에요.
주 원인은 고양이 파보바이러스(FPV)로, 어린 고양이, 면역력이 약한 고양이에게 특히 위험해요.
감염되면 백혈구 수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면역력이 크게 떨어지고, 심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요.
이 바이러스의 가장 무서운 점은 환경에서도 오래 살아남는다는 것!
바닥, 장난감, 사료 그릇 같은 곳에서도 몇 달 이상 생존할 수 있어요. 그렇다면 이 범백, 어떻게 예방하고 치료해야 할까요? 지금부터 하나씩 알아봐요!
고양이 범백의 원인과 전염 경로
✅ 고양이 범백의 주요 원인
- 고양이 파보바이러스(FPV) 감염
-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고양이일수록 감염 위험 증가
- 면역력이 약한 어린 고양이나 노령묘는 더욱 취약
✅ 전염 경로
- 감염된 고양이의 침, 분변, 구토물, 소변을 통해 쉽게 전염돼요.
- 바이러스는 사람의 손, 옷, 신발, 사료 그릇, 장난감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어요.
- 강력한 생존력을 가진 바이러스로 오염된 환경에서 1년 이상 생존하기도 해요. (네, 맞아요. 바이러스가 마치 좀비처럼 끈질기게 살아남아요..)
고양이가 직접 감염된 고양이를 만나지 않았더라도, 오염된 물건이나 사람을 통해 간접적으로 감염될 수도 있어요. 그래서 철저한 위생 관리가 중요하답니다!
고양이 범백의 주요 증상 –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해요!
고양이 범백의 증상은 초기에 감지하기 어렵지만, 아래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해요!
1. 초기 증상 (1~2일차)
- 식욕 저하 – 평소 잘 먹던 간식도 거부!
- 무기력 – 바닥에 찰싹 붙어서 움직이기 싫어함
- 고열(40도 이상) 또는 오히려 저체온
2. 진행된 증상 (3~5일차)
- 구토와 심한 설사 – 악취가 심하고 출혈이 섞이기도 함
- 심각한 탈수 – 물을 마셔도 계속 토함
- 백혈구 감소로 인해 면역력 저하 → 2차 감염 위험 증가
3. 위급한 상태 (5일 이상 경과 시)
급격한 체중 감소와 탈수
패혈증, 신경 증상(경련, 떨림) 발생 가능
치료하지 않으면 치사율 90% 이상
고양이 범백은 진행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의심되는 증상이 보이면 즉시 동물병원으로 달려가야 해요!
발정기가 미치는 영향
고양이의 발정기는 신체적 변화뿐만 아니라 보호자와 주변 환경에도 영향을 미쳐요.
보호자의 수면 방해: 고양이의 높은 울음소리 때문에 숙면을 취하기 어려울 수 있어요.
집안의 청결 문제: 발정기 동안 스프레이 행동이 증가해 벽이나 가구에 소변을 뿌릴 수도 있어요.
스트레스 증가: 고양이가 지속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놓이며, 보호자도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어요.
탈출 위험 증가: 발정기 중인 고양이는 짝을 찾기 위해 집 밖으로 나가려는 시도가 잦아지고, 이로 인해 실종 위험이 커져요.
고양이 범백 치료 방법 – 생존율을 높이는 방법
고양이 범백은 바이러스성 질환이기 때문에 특효약은 없어요. 하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어요. 💉
✅ 기본 치료법
- 집중 수액 요법 – 탈수를 막기 위해 정맥 수액 투여
- 영양 공급 – 강제로라도 먹여야 생존 가능
- 항생제 투여 – 2차 감염 예방 (세균 감염 방지)
- 지사제, 구토 억제제 사용 – 증상 완화
✅ 치료 성공률을 높이는 추가 관리법
- 격리 – 다른 고양이와 접촉 금지
- 편안한 환경 유지 – 스트레스 최소화
- 면역력 강화 보조제 사용 – 바이러스와 싸울 수 있도록 도움
하지만 치료를 받더라도 심한 경우 생존율이 낮기 때문에, 무엇보다 예방이 가장 중요해요!
고양이 범백 예방법 – 예방접종이 가장 확실한 방법!
범백은 예방이 최선이에요! 고양이 범백 예방 접종을 반드시 해야 해요.
✅ 고양이 범백 예방 접종 스케줄
- 첫 접종: 생후 8주 (2개월)
- 추가 접종: 생후 12주(3개월), 16주(4개월)
- 추가 부스터: 1년 후
- 이후 매년 1회 접종 유지
✅ 추가 예방 방법
- 감염된 고양이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 새로운 고양이를 들일 때 반드시 건강 검진 후 합사하기
- 사람이 밖에서 오염된 옷이나 신발을 통해 바이러스를 들여오지 않도록 위생 관리 철저히 하기
- 고양이 물품(사료그릇, 장난감, 화장실 등) 주기적으로 소독하기
고양이 범백은 한 번 걸리면 치료가 어렵고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병이에요. 하지만 예방접종만 잘해도 감염 위험을 거의 없앨 수 있어요!
✔ 예방접종을 반드시 챙기고
✔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며
✔ 초기 증상을 빠르게 캐치해서 병원에 가는 것
이 세 가지만 잘 지켜도 우리 소중한 고양이를 지킬 수 있어요!
혹시라도 집사님이 고양이 범백을 의심하고 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즉시 병원으로 가세요!
우리 소중한 냥이가 건강하게 오래오래 집사 곁에 머물 수 있도록, 지금부터 예방을 철저히 해보아요!


